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일단 1차적으로 방송국이 눈치를 봐야 하는 대상은 인가권이 있는 방통위와 사실상 재인가 점수를 깎을 수 있는 심의 기관인 방심위임. 참고로 이 두기관 모두 MB 정부때 생긴 기관. 실제 심의는 방심위가 하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심의 기관인 방심위쪽 눈치를 봐야함.

우선 방통위는 청와대 몫 2명 + 여당 몫 1명 + 야당 몫 2명으로 총 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고, 방심위의 심의위원은 총 9명으로 명목상 9명 전부 대통령이 위촉하지만, 과반수인 6명이 국회 몫임. 당연히 국회 몫은 청와대 보다는 여야 지도부 입김이 들어갈 수 없는 구조임. 근데 문재인 집권 당시 야당은 한결같은 반문 성향이었고 여당도 이낙연 지도부를 제외하면 친이재명 성향의 지도부였음. 근데 문제는 이낙연 지도부때는 방심위 위원을 임명할 시기가 아니었음. 방통위와 방심위 모두, 위원들 재임기간 확인했는데 

즉, 문재인 정부 당시에 방심위 위원 6명 중 여당 몫은 친이재명 지도부의 민주당에 의해서, 야당 몫은 반문 성향의 야당에 의해서 임명되었음. 당시 방송국들은 그런 구도의 방심위의 심의를 받아야 했으니 당연히 친문 보도를 안해도 문제가 없고 반문 보도를 해도 문제가 거의 없겠지. 반면 반이재명 보도가 없었던건 친구비 때문도 있지만 이해찬 등 친이재명 지도부에 의해 임명된 방심위원들의 눈치를 봐야한 면도 있다고 봄.

물론 방송국이 반문 성향이었던건 방통위 말고도 다른 이유가 있음. 예를 들어 종편의 경우에는 모기업이 반문이고 문프랑 이해관계가 배치되기 때문에 아무리 방심위 등이 문파 심의위원으로 도배되었어도 반문질은 여전할거라고 봄. 물론 KBS, MBC, YTN 등은 방심위가 문파로 도배된다면 문파 눈치를 보겠지만.

윤석열 정부때 방송국이 정부 눈치라도 보는 척을 하는건 국힘당은 전통적으로 정권 초기면 대통령이 당을 장악하고, 대통령 임명권이 있는 인사도 자기 코드에 맞는 인사를 넣기 때문에 방심위도 대통령에 호의적인 인사가 많아지게 됨. 미래의 방통위와 방심위에 대비해서라도 대통령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음.

솔직히 방심위는 없어져야 마땅함. 아무리 여니가 대통령이 되어도 부패한 양당이 이끄는 구도가 될 수 밖에 없는게 방심위의 한계임. 애시당초 MB 정부가 언론 등을 통제하기 위해서 만든 기관이고. 해외 선진국은 전부 방송은 자율심위고 인터넷 컨텐츠에 대해서는 별도의 민간 심의 기관조차 없음. 만약 방심위가 없고 해외 선진국 처럼 방송사가 완전한 자율 심의였으면 지상파와 YTN은 문프 눈치 보면서 중립적으로 보도 했을거임. 종편은 막나겠지만, 솔직히 종편보다 지방파와 YTN 영향력이 더 높음.

솔직히 일부 연예인들이 반문질 한 것도 부동산 때문도 있겠지만(유명 연예인들은 종부세 납세 대상 비율이 높겠지) 방심위의 구도가 구도인지라 반문질을 눈치 안보고 마음껐 했을 것이라고 봄. 연예인들도 방심위 눈치는 봐야하고, 방송에서는 방심위 심의기준 준수하면서 말해야 함.

Who's 뉴리대장

profile

아이마스 좋아하는 코더.

목록

정치/시사 게시판

국내 정치 이야기를 하는 곳이며, 정치 이외의 이야기를 하셔도 괜찮습니다.

쓰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우리 사이트는 스퀘어발 난민을 환영합니다 뉴리대장 2023.12.18 5 899
공지 사이트 이용 규칙(2024.02.23. 수정) 17 뉴리대장 2022.06.29 33 3394
공지 정치/시사 게시판 이용 안내 4 newri 2022.06.29 6 631
공지 숨기기
5193 국제 대만 집권 민진당, 라이칭더 주석 차기 총통후보 지명 예정 바티칸시국 2023.03.24 0 1
5192 국제 "노트르담 성당을 5년 만에 복원?"… 모두가 웃었지만 이젠 안 웃는다 바티칸시국 2023.04.15 0 1
5191 국제 우크라-러시아, 정교회 부활절 맞아 포로 맞교환 실시 바티칸시국 2023.04.16 0 1
5190 잡담 결국에 이정근은 유동규 테크 가는 건가 추가열 2023.04.16 0 1
5189 국제 케냐 공항서 화물기·조류 충돌로 모든 항공편 운항 중단 바티칸시국 2023.04.17 0 1
5188 국제 아수라장 수단…美 "대사관 철수 여의찮아 탈출 군사작전 준비" 바티칸시국 2023.04.20 0 1
5187 국제 러시아 反동성애 정책에 '발레 전설' 누레예프 일대기 '불똥' 바티칸시국 2023.04.20 0 1
5186 국제 '전력난' 남아공, 나미비아와 에너지 협력 강화키로 바티칸시국 2023.04.22 0 1
5185 국제 벌써 20년…국제적십자 "관타나모 수용자 건강상태 심각" 바티칸시국 2023.04.22 0 1
5184 국제 '호주인 1000명 사망' 日수송선, 81년 만에 필리핀 인근 4000m 심해서 발견 바티칸시국 2023.04.22 0 1
5183 국제 아시아서 4월 때아닌 폭염...태국은 체감온도 54도 기록 바티칸시국 2023.04.24 0 1
5182 국제 같이 밥 먹던 남친·지인마다 사망… 13명 연쇄살인 태국 ‘죽음의 만찬’ 바티칸시국 2023.04.29 0 1
5181 국제 65년 기다린 대관식 마친 英찰스 국왕, 영국민에 "진심 어린 감사" 바티칸시국 2023.05.09 0 1
5180 국제 튀르키예 대선 사흘전 야권 2위후보 사퇴…에르도안 최대 위기 바티칸시국 2023.05.12 0 1
5179 국제 대선 하루 앞둔 에르도안, 패배시 평화적 정권 이양 약속 바티칸시국 2023.05.14 0 1
5178 국제 英 대관식 집전한 대주교 8㎞ 과속에 기소…벌금 등 85만원 낸다 바티칸시국 2023.05.14 0 1
5177 국제 캐나다, 사적지 200곳 안내문 '원주민 왜곡' 바로잡는다 바티칸시국 2023.05.20 0 1
5176 국제 바레인·레바논, 1년 6개월 만에 대사급 외교 관계 회복 바티칸시국 2023.05.21 0 1
5175 국제 "속도위반 英내무장관, 벌점 안받으려 '특별교육' 부당 지시" 바티칸시국 2023.05.21 0 1
5174 국제 이탈리아 홍수로 엉망진창된 고서적…일단 냉동창고 보관 바티칸시국 2023.05.27 0 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0 Next
/ 260